반응형 작업관리자 운영체제/윈도우 2021. 1. 6.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네트워크 편 이전에 작업관리자 메모리편에 이어서 이번에는 네트워크 탭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에 이전 글을 보시지 않으셨다면 꼭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디스크 편 이전에 그래픽카드 탭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디스크 입니다. ㅎㅎ 만약 이전 글을 보시지 않았다면 꼭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그래픽카드 편 이전에 작업관 focuskr.tistory.com 네트워크 부분은 간단하고 그렇게 복잡하게 되어있지는 않고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제 용어 정리를 하자면... 처리량 : 보내기 받기를 실시간으로 그래프를 표시해줍니다. 보내기 : 업로드 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합니다. 받기 : 다운로드 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합니다. .. 운영체제/윈도우 2021. 1. 4.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디스크 편 이전에 그래픽카드 탭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디스크 입니다. ㅎㅎ 만약 이전 글을 보시지 않았다면 꼭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그래픽카드 편 이전에 작업관리자 메모리편에 이어서 이번에는 그래픽카드 탭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에 이전 글을 보시지 않으셨다면 꼭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작업관리자 focuskr.tistory.com 이번에도 디스크 탭에 대한 용어 정리 입니다. 활성 시간 : 현재 디스크의 이용률을 표시합니다. 디스크 전송 속도 : 디스크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쓰기/읽기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평균 응답 시간 : 디스크가 현재 응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시하며 높으면 높을수록 부하가 많이 발생됩니다. 읽기 속도 : 현재 디스크의.. 운영체제/윈도우 2021. 1. 3.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그래픽카드 편 이전에 작업관리자 메모리편에 이어서 이번에는 그래픽카드 탭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에 이전 글을 보시지 않으셨다면 꼭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메모리 편 지난 CPU 편을 이어 작업 관리자에 있는 메모리 탭에 있는 정보에 대해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이전 글을 보고 오시기 않았다면 꼭!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작업관리자를 focuskr.tistory.com 그래픽카드 탭에서는 위 이미지처럼 보이게 되며 용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3D : 현재 그래픽카드가 3D 관련 작업을 하고 있는 비율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Copy : 현재 CPU와 GPU간 메모리 정보를 교환하고 있는 비율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Video E.. 운영체제/윈도우 2021. 1. 2.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메모리 편 지난 CPU 편을 이어 작업 관리자에 있는 메모리 탭에 있는 정보에 대해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이전 글을 보고 오시기 않았다면 꼭! 보고 오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ㅎㅎ..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CPU 편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거나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꼭 실행하는 윈도우 기능 중 하나가 작업 관리자입니다. 작업 관리자에 가끔 보면 이 내용들이 무엇을 의미하 focuskr.tistory.com 메모리 탭에 대해선 위 이미지와 같이 보이게 되며 용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 중(압축) :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 용량을 표시해주며 괄호 안에 있는 메모리 용량은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 중에서 비활성 메모리를 압축한 용량입니다. 사용 가능 : 장착된 물리 메모.. 운영체제/윈도우 2021. 1. 1. 작업관리자를 보는 방법 - CPU 편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거나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꼭 실행하는 윈도우 기능 중 하나가 작업 관리자입니다. 작업 관리자에 가끔 보면 이 내용들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하고 갑자기 궁금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작업 관리자 기능을 사용할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고 괜히 보면 이게 정상적인 건가 비정상적인 건가 하고 생각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한번 준비해보았습니다. 이번 편은 CPU 탭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CPU 부분은 위와 같이 표시되고 있습니다. 특히 그래프 밑에 있는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기록이 되어 있는데요. CPU 부분에 대한 부분의 용어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용률 : 현재 CPU가 부하를 받고 있는 백분율을 표시하.. 운영체제/윈도우 2020. 12. 27. 작업관리자에 있는 System Interrupts 의 정체와 CPU 점유 문제 이전에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작업관리자의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는 어떤 것일까? 작업 관리자의 상세정보를 보게 되면 항상 표시되고 있는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라는 것이 있습니다. 다른 프로세스에 비해 어마 무시한 CPU 사용률을 표시하면서 항상 실시간으로 변화되 focuskr.tistory.com 이번에는 'System Interrupts'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System Interrupts 란 실제 프로세스는 아니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럽트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대해서 표시해주는 것이며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면 하드웨어와 시스템 사이에서 소통하는 과정의 리소스 사용 상태를 표시해줍니다. System Interrupts는.. 운영체제/윈도우 2020. 12. 23. 작업관리자의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는 어떤 것일까? 작업 관리자의 상세정보를 보게 되면 항상 표시되고 있는 '시스템 유휴 시간 프로세스' 라는 것이 있습니다. 다른 프로세스에 비해 어마 무시한 CPU 사용률을 표시하면서 항상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얘는 뭐길래 도대체 이렇게 리소스를 많이 먹을까?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것은 사용량이 아닌 현재 시스템에서 남아있는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것입니다. 즉, 현재 CPU 사용량이 아닌 CPU 남은 사용률을 표시해주는 것이므로 항상 높은 것이 시스템에서 가장 좋은 것입니다. 보시면 PID(Process identifier) 값이 0 으로 표시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0이라는 PID는 시스템이 아니라면 만들 수 없는 프로세스 ID 값이며 일반적인 프로세스.. 운영체제/윈도우 2020. 11. 9. 윈도우10 작업관리자 CPU를 쓰레드 수만큼 표시하는 방법 윈도우7이나 윈도우10 작업 관리자에서 CPU는 포맷 이후엔 기본적으로 전체 프로세서의 평균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CPU 코어가 1개가 아니고 요즘은 최소 쿼드코어(4개) 정도 되기 때문에 모든 CPU를 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는 아래와 같이 그래프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그래프 변경'에서 '논리 프로세서'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이 프로세서 수만큼 모두 표시됩니다. 이렇게 표시하면 유휴한 CPU 혹은 혹사(?) 당하고 있는 CPU가 몇 번인지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에 윈도우 커널이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보고 싶으시다면 '커널 시간 표시'를 사용하시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시스템이 먹고 있는 기본 CPU 사용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진한 그래프 영역이 .. 이전 1 다음 반응형